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구글 맵
- 서버
- Google Map
- RaspberryPi
- android studio
- JSON parsing
- place picker
- 구글 플레이스
- Parsing
- one-pan pasta
- Android
- one pot pasta
- 라즈베리파이
- 원팬 파스타
- 리액트네이티브
- Ionicons
- 안드로이드
- google api
- google places
- 원팬파스타
- Google JSON
- Google direction
- 구글
- 리액트 네이티브
- 위치 끄기
- googlemap
- ReactNative
- json
- 파싱
- Today
- Total
날뛰는 코드
Google direction JSON 파싱 정리 본문
* 전체 설명 구글 direction
https://developers.google.com/maps/documentation/directions/intro?hl=ko
*크게
= routes(경로) { legs(구간) { steps(스텝) } } 으로 구성
1. routes(경로)
- routes 배열의 각 요소는 지정된 출발지 및 목적지의 단일 결과를 포함합니다. 이 경로는 경유지가 지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하나 이상의 legs
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. 또한, 경로에는 라우팅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표시되어야 하는 저작권 및 경고 정보가 포함됩니다.
2. legs( 구간)
- legs 배열의 각 요소는 계산된 경로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단일 여정 구간을 지정합니다. 포함된 경유지가 없는 경로의 경우에는 경로가 단일 "구간"으로 구성되지만, 하나 이상의 경유지가 정의된 경로의 경우에는 경로가 하나 이상의 구간으로 구성되며, 각 구간은 특정한 여정 구간에 해당합니다.
=> 경유지가 없으면 legs는 단일 구간이다.
=> 여기서의 distance, duration 으로 각 구간당 거리, 시간을 구할 수 있다.
=> 값을 비교하면 판단하려면 value값을 가져와 하는게 나을듯
=> value는 미터 랑 초(
ex)
"legs" : [
{
"arrival_time" : {
"text" : "3:49pm",
"time_zone" : "America/New_York",
"value" : 1447188541
},
"departure_time" : {
"text" : "3:00pm",
"time_zone" : "America/New_York",
"value" : 1447185623
},
"distance" : {
"text" : "10.1 mi",
"value" : 16273
},
"duration" : {
"text" : "49 mins",
"value" : 2918
},
"end_address" : "1 MetLife Stadium Dr, East Rutherford, NJ 07073, USA",
"end_location" : {
"lat" : 40.814505,
"lng" : -74.07272910000002
},
"start_address" : "75 Ninth Ave, New York, NY 10011, USA",
"start_location" : {
"lat" : 40.7428444,
"lng" : -74.00587019999999
},
3. steps(스텝)
- steps 배열의 각 요소는 계산된 찾아가는 길의 단일 스텝을 정의합니다. 스텝은 길찾기 경로의 가장 작은 단위이며, 여정에서 특정 단일 지시를 나타내는 단일 스텝을 포함합니다. 예: "서쪽 네 번째 거리에서 좌회전" 스텝은 지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이 스텝이 다음 스텝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거리 및 기간 정보도 포함합니다. 예를 들어, "I-80 서쪽에서 합류"로 지정된 스텝은 "37마일" 및 "40분"을 포함할 수 있으며, 이는 그 다음 스텝이 이 스텝에서 37마일/40분 떨어져 있음을 나타냅니다.
=> steps은 legs의 각각 구간인것 같다.
ex) legs{ steps(집~ 버스정류장 까지), steps(버스정류장~ 역 까지), steps(역 ~ 학교 까지) }
이런식인가?
흠 근데 한국 대중교통으로 해보니까 단일경로로 해보니까 steps은 아이에 없넹
'안드로이드 > 구글 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ON 파싱 두 마커사이 거리, 시간 파싱하기.(17/08/21) (0) | 2017.08.21 |
---|---|
앞으로 할 것 정리 (17/08/20 ) (0) | 2017.08.20 |
구글 내위치 추적 끄기 (17/08/20) Google Map Api (1) | 2017.08.20 |
구글 맵 내위치 받아오기 (17/08/19) (0) | 2017.08.19 |
구글 플레이스,장소검색기(Google Places, Place Picker) 적용시키기 (17/08/19) (3) | 2017.08.19 |